구글 엔지니어는 이렇게 일한다10 [책 정리] 구글 엔지니어는 이렇게 일한다 #3 지식 공유를 읽고 #3 지식 공유를 읽고| 일부 내용지식을 전파할 메커니즘 나도 프로그래밍을 이제 막 시작하는 시기에는 질문을 잘하지 못했다. 그렇기 때문에 내가 원하는 답을 얻기도 쉽지 않았고, 이를 기반으로 문제를 해결할 실마리를 마주하는것도 어려웠던때가 있었다. 더불어, 안그래도 초보인데 질문을 잘못해서 질책을 받으면 어떻게 하지? 이걸 물어봐도 되나? 라는 의문을 항상 품고 있었다. 책에서도 질문는 하는 과정에서의 심리적 안정성에 대해서 말해주고 있다. 물론, 지금은 실무를 겪으며, 이러한 생각들은 나은 방향으로 변화했다. 내가 부족해보일까 두려워 질문을 주저하지 않고 질문을 하려고 한다. 더불어, 문서화의 중요성 또한 이야기 하고자 하는것을 느꼈다.정보의 중복과 파편화, 전달의 왜곡은 질문 / 답변 / 지식 .. 2024. 11. 14. [책 정리] 구글 엔지니어는 이렇게 일한다. | #1장 소트프웨어 엔지니어링이란? 을 읽고 1장 소트프웨어 엔지니어링이란?"프로젝트 수명 주기"이따금 과거의 프로젝트를 돌아보면, "완성 땅땅" 하고선 열어보지도 않는 '프로젝트의 수명주기' 가 채 1주일도 가지 않는것들이 많았다. 더욱이 알고리즘 같은 경우는 프로젝트의 수명 주기가 1시간이나 될까.. 이번에 "프로젝트 수명 주기" 를 인지 함으로써, 항상 프로젝트 시작전 많은 고려사항을 고민하며 골머리를 썩히는 시간을 줄일 수 있을것 같다."아.. 이거 넣어야 되나? 아... 이거 필요한데" "이거 프로젝트 수명 주기 1주일 용도다! 넘겨!"(웃자고 한소리다... ) 실제 회사에 근무를 할때 특정 라이브러리들의 의존성 업데이트로 인해 기술 부채가 발생한 경험이 있다. 스타트업의 특성상 기술 부채의 처리와 고객 유입과 지표 상승, 투자 유치를 위.. 2024. 11. 8.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